일본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의 오염수(처리수) 해양 방출 관련 시운전을 시작한 가운데 이달 안에 방출설비가 갖춰질 전망이라고 아사히신문이 13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의 처리수 해양 방출 계획에서 12일 처리수 대신 진수(真水·담수)를 사용해 바다로 방출하는 시운전을 시작했다. 약 2주 기간에 걸쳐 오염수 이송펌프나 안전장치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한다고 한다.
한편, 원자력발전소에서 앞바다로 향하는 해저 터널을 파낸 쉴드머신이 앞바다에 남아 있어, 도쿄전력은 파도가 거칠지 않을 때 전용선으로 인양할 예정이다. 시운전과 병행해 실시하는 이 인양작업이 끝나면 이달 안에도 방출설비가 갖춰질 수 있을 전망이랍니다.
도쿄전력의 방출 계획에서는 오염수로부터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고, 해수로 희석해 ALPS로 제거할 수 없는 트리튬의 농도를 국가 기준의 40분의1 미만의 처리수로 한 다음, 해저터널을 통해 원전 앞바다 1㎞ 앞의 방수구에서 바다에 흘려 보낸답니다.
시운전에서는 오염수 대신 담수를 설비로 보내 희석용 해수를 섞어 해저터널을 통해 방수구에서 바다로 흘려보낸다. 물을 내보내는 펌프의 성능이나 이상 문제 발생 시 긴급정지 설비의 기능을 확인한다고 아사히가 보도했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운전 돌입 "사전 통보 없었다"는 정부에 민주당 총공세 -2023. 6. 12
일본 정부가 12일 오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설비 시운전에 착수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일본 측의 사전 통보가 없었다고 비판하면서 오염수 방류 저지를 위한 총공세에 나섰답니다.
일본 지역 민영방송인 TV-U 후쿠시마 보도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이날부터 약 2주 간 시운전을 통해 방사성 물질이 없는 물을 바닷물과 섞어 원전 앞 바다에 방류하면서 시설 작동 및 긴급 정지 가능여부 등을 확인한다. 시운전 중에는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오염수는 방류되지 않는 것입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 질문에서도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격론이 벌어졌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민주당 윤호중 의원이 “국회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 규탄·대책 촉구 결의안을 공동 발의한 국회의원으로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의 무단 해양 방류를 반대할 의향이 없는가”라고 질의하자 “안전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으면 방류하는 것은 반대한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이날 일본이 오염수 방류 시운전을 하기 전 사전 통보를 받았는지를 질의했고, 박 의원은 “사전 통보를 받은 적이 없던 것이다”고 답했답니다.
윤 의원은 일본이 사실상 오염수 방류를 위한 마무리 단계로 돌입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검증하고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검증 결과 나오기 전에 시운전 했다는 것은 무단 방류를 하겠다 의지를 보인 것”이라며 “사실을 알면서도 우리 정부가 아무런 조치 취하지 않고 있는데 유감이다. 홍콩의 경우 일본이 해양에 오염수를 방류한다는 발표 즉시 일본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취했던 상황이다”고 지적했답니다.
이에 앞서 이재명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오염수 방류에) 국민의 85%가 반대하는 건 물론이고, 일본 현지 주민들과 인접한 중국·홍콩·대만 같은 나라들도 반대하고 있다”며 “희한하게도 가장 큰 피해를 입는 대한민국의 윤석열 정부만이 오염수 방류를 침묵으로 사실상 용인하고 있다. 기가 막힌 오염수 동맹”이라고 꼬집었답니다.
박광온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조사 보고서가 나온 뒤 국회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청문회’를 실시하자고 주장한 데 대해 “검증을 무력화하는 시간 끌기용 꼼수로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답니다.